설날은 음력으로 새해의 첫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설날은 묵은 해를 정리하여 떨쳐버리고 새로운 계획과 다짐으로 새 출발을 하는 첫날이다.
이 '설'은 순수 우리말로써 그 말의 뜻에 대한 해석은 구구절절 하다.
그 중 하나가 '서럽다'는 `설'이다.
선조 때 학자 이수광이 `여지승람(輿地勝覽)'이란 문헌에 설날이 '달도일'로 표기되었는데,
'달'은 슬프고 애달파한다는 뜻이요,
'도'는 칼로 마음을 자르듯이 마음이 아프고 근심에 차 있다는 뜻이다.
`서러워서 설 추워서 추석'이라는 속담도 있듯이 추위와 가난 속에서 맞는 명절이라서
서러운지, 차례(茶禮)를 지내면서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간절하여 그렇게 서러웠는지는 확실치 않다.
다음은 '사리다'[愼, 삼가다.]의 `살'에서 비롯했다 설(說)이다.
각종 세시기(歲時記)들이 설을 신일(愼日)이라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한것도
몸과 마음을 바짝 죄어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의 첫 시작을 경거 망동하지 말라는 까닭이다.
옛날 문헌들에 정초에 처음 드는 용(辰)띠날, 말(牛)띠날, 쥐(子)띠날, 돼지(亥)띠날,그리고 2월 초하룻날을 신일(愼日)로 적혀 있음을 근거로 하여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이 풀이한 기원설이다.
새해부터 처음 맞이하는 십이일을 상십이지일(上十二支日)이라 하여 여러 가지를 삼가며 조심할 것을
가르친 풍속이 있는 걸 볼 때 매우 타당한 설(說)이다.
`설'의 어원에 대해 또 다른 견해는 나이를 댈 때 몇 살(歲).. 하는 '살'에서 비롯된 연세설(年歲說)이다.
한국말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 우랄 알타이어계(語系)에서 해가 바뀌는 연세(年歲)를 '살(산스크리트語) 잘(퉁구스語) 질(몽고語)'이라 한다.
산스크리트 말에서 `살'은 두 가지 뜻이 있는데
그 하나는 해가 돋아나듯 '새로 돋고 새로 솟는다'는 뜻이 그 하나요,
다른 하나는 시간적으로 이전과 이후가 달라진다는 구분이나 경계를 뜻하고 있다. 이 모두 정초와 직접 연관되고 있다.
중국의 어원사전인 `청문엽서(淸文葉書)'에 보면
연세를 나타내는 `살'· `잘'은 세(世)· 대(代)· 세(歲)· 수(壽)를 뜻하고,
또 대나무나 풀이나 뼈마디를 뜻하는 절(節)의 어원이라고도 했다.
'몇 살 몇 살' 하는 `살'이 그 연세의 매듭(節)을 짓는 정초를 나타내는'로 전화됐음직 하다.
또한 설에 대한 가장 설득력있는 견해는 '설다. 낯설다' 의 '설'이라는 어근에서 나왔다는 설(說)이다.
처음 가보는 곳, 처음 만나는 사람은 낯선 곳이며 낯선 사람이다.
따라서, 설은 새해라는 정신·문화적 시간의 충격이 강해서 '설다'의 의미로, 낯 '설은 날'로 생각되었고, '설은 날'이 '설날'로 정착되었다.
곧 묵은해에서부터 분리되어 새해로 통합되어 가는 전이과정에 있는 다소 익숙치 못하고 낯 설은 단계라는 의미이다.
설은 한해가 시작되는 첫날로 우리 나라 명절중 최고의 명절이다.
설은 다른 말로 세수(歲首), 원단(元旦), 원일(元日), 신원(新原) 이라고도 한다.
설날 아침에는 식구들이 일찍 일어나 새로 지은 옷(설빔)을 입고,
세찬과 세주를 마련하여 조상님께 차례를 지낸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새해 첫인사 즉 세배를 올린다.
집안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음식으로 아침을 먹고, 일가 친척과 이웃 어른을 찾아 세배를 드린다.
세배를 받는 쪽에선 손님께 대접하는 음식상을 차린다.
어른에겐 술과 음식을, 아이들에겐 과자나 돈을 주고 덕담을 건넨다.
아이들에게 주는 돈은 저축정신을 기르는 뜻에서이다.
설날 아침 차례와 성묘를 지낸 다음 친척과 마을사람들끼리 모여 여러 가지 놀이를 즐겼는데 이 놀이들은 비단 설날에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겨울 농한기 특히 설날부터 시작하여 정월 대보를날까지 즐겼다.
우리나라의 많은 민속놀이는 정월 대보름에 즈음한 이 시기에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다.
설날 민속놀이에는 연날리기, 윷놀이, 농악, 널뛰기와 함께 기호지방의 북청사자놀이, 영남지방의 광대놀이, 동북부해안 지방의 처용놀이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