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벨탑은 영성심리학 적으로 아주 미묘한 내용을 갖는 것입니다
신앙인은 완전함에 대한 욕구와 갈망을 가져야 하지만
완벽주의에 빠져서는 안된다는 상반된 내용을 갖는 것이 바벨탑의 의미입니다
완벽주의자의 자아는 쉽게 독선에 빠집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성취에 근거하여 하느님과 관계를 맺으려 하기 때문입니다
" 꼭대기가 하늘까지 닿는 탑을 세워 이름을 날리자" 는 말이 이를 대변합니다
또한
완벽주의는 우리를 자기몰두속에 빠지게 합니다
실수를 하지 않으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모든 것에 우월성을 유지하려는 태도는 자신에게만 몰두하게 하여
에너지를 소모시킵니다
주님께서 그들을 온 땅으로 흩어버리시어 그들이 성읍을 세우는 일을 그만두었다는 말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처럼 바벨탑은 완벽주의자들이 갖는 여러가지 심리적 부작용들을 상징하는 건축물입니다
우리가 인생의 미성숙 함에서 벗어 나려는 노력이 아닌 즉 우리자신을 과정적인 존재로 받아들이지 않고
완벽함을 지향하는 인간으로 인식하려고 할 때 마태복음에서 주님께서 "완전한 사람이 되어라" 하신 말씀은
즉각적으로 왜곡 해석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오류가 없는 완전함으로 이해하고 그 결과로 성경을 율법주의적으로 해석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더 안좋은 것은 자기도취적 완벽주의에 빠지거나 심한 자기혐오에 빠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자기도취적 완벽주의는 더 이상 하느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태로 가게 되고
자기혐오는 자기거부를 시작으로 하느님을 거부하는 병적인 상태를 진행시킵니다
마치 바벨탑을 세운 사람들처럼
그래서 건강한 신앙인들은 이상적인 신앙생활의 목표는 가지되
지나치게 그 이상을 자기에게 적용하려고 하지 말고
그 과정이 주는 의미를 받아들이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라고 하는 것입니다
홍성남 마태오 신부(가톨릭영성심리상담소장)
'영성심리학적 성경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12장 1절 ~9절 약한 사람을 부르시는 하느님의 방법 (나와 자녀의 성장) (0) | 2016.07.11 |
---|---|
창세기 11장 10절 ~32절 부모의 역할 (0) | 2016.07.06 |
창세기 10장 1절 ~32절 노아의 자손들은 온전한가? (온전함이란, 그림자 다루기) (0) | 2016.06.25 |
창세기 9장 18절 ~28절 아버지와의 관계 (부모의 양육 태도) (0) | 2016.06.19 |
창세기 9장 8절 ~ 17절 무지개 (살아가는 방식이 제각기 다른이유) (0) | 2016.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