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톨 릭 사 진

대구 성모당

dariaofs 2016. 7. 1. 07:44


안세화 드망즈 초대 주교의 허원으로 건립  천주교 대구대교구 성모당(聖母堂)은 주교관 경내의 가장 아름다운 보좌에 세워진 사랑의 성지이다.


인간의 머리와 세상적인 가치관으로는 도저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하늘의 영광을 오직 순명으로 받아들인 성모님을 모신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내 성모당은 하느님의 뜻대로 살아가는 순례자들의 기도를 들어주는 열린 성지, 치유의 성지이다.

 
대구 성모당은 1917년 7월 착공하여 1918년 8월 15일 완공되었고, 10월 13일 축성되었다. 1911년 조선대목구에서 남방 지역을 관할할 대구대목구가 분리 · 설치되면서 부임한 초대 감목 안세화 드망즈(安世華, Florian Demange) 주교의 허원이 계기가 됐다.

가진 것은 하나도 없이 오직 가난만을 나눠 갖고 온 안 주교는 교구에 꼭 필요한 주교관, 신학교, 주교좌성당 증축을 이뤄주면 교구의 가장 아름다운 장소를 성모님께 봉헌하여 그곳에 루르드의 성모동굴 모형대로 성모당을 세워서 모든 신자들이 순례하도록 하겠다고 허원을 드렸다.
 
안 주교가 허원을 드린 지 2년 만인 1913년 12월 4일 대구본당(계산 주교좌본당) 서상돈 아우구스티노 등의 협력으로 주교관을 완공했고, 1914년 10월에는 성 유스티노 신학교를 건립했다.

그러나 계산 주교좌성당 증축은 이루어지기 어려워 성모당 건립도 자연히 늦어질 것으로 보였다.

그러던 중 계산 주교좌성당 보좌 소세(Hyppolyte Joseph Sacet) 신부가 중병을 앓아 선종 직전에 이르렀다. 안 주교는 수많은 치유의 기적을 보인 성모님께 소세 신부를 낫게 해주면 주교좌성당 증축 전에 성모동굴을 봉헌하겠다고 새로 약속했다.

소세 신부가 기적적으로 살아나자 1917년 7월 31일부터 성모동굴 공사를 시작, 1918년 8월 15일 공사를 마쳤고, 10월 13일에 성모당을 축성했다.
 
드망즈 주교가 1918년 축복한 성모당. 루르드의 성모동굴을 본딴 동굴 위에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님께 바친 서원에서라는 말이 라틴어로 적혀 있다.“회개하라”고 하신 루르드 성모님 모셔  1918년 성모승천 대축일에 완성된 대구 성모당은 프랑스 피레네 산맥 북쪽 기슭 가브(Gave) 강가에 있는 루르드의 성모동굴과 크기는 물론 바위 모양까지 똑같다.

교구청에서 가장 높고, 전망이 좋은 곳에, 앞으로 넓은 잔디마당을 두고 북향으로 배치됐다. 붉은 벽돌 건물인데, 외부는 벽돌로, 굴 내부는 시멘트이다.

기념틀의 모양은 교황 레오 13세께서 바티칸 정원에 만들어 놓은 루르드의 성모 기념동굴을 본떴다. 내부는 암굴처럼 꾸며졌고 성모당을 바라보며 오른쪽 상단에 마리아상을 모셨다.

돌로 된 성모상은 당시 대구교구 프랑스인 사제와 한국인 사제들의 헌금으로 마련됐다. 성모당은 루르드의 성모님이 15세 소녀 베르나데트(Mary-Bernadette Soubirous)에게 18번이나 발현했던 그 모습 그대로 머리에는 흰 수건을 썼고, 청색 띠를 띠었으며, 손은 합장하고 팔에는 은알(묵주)이 드리워졌고, 벗은 양발 위에 금해당화가 피어있다.
 
성모당은 가장 사랑받는 열린 성지  성모당은 신자들이 가장 즐겨 찾는 거룩한 땅일 뿐 아니라 각종 가톨릭 신심행사와 종교의식이 거행되는 사적지로 외교인들도 큰 호기심을 갖고 있는 대구의 명소이다.

역대 교황사절에 대한 환영식과 교구적인 경축행사의 식장은 의례 성모당이 되어 왔었다.

1984년 5월 5일 선교 200주년 대구 행사를 위하여 내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직접 이 ‘루르드의 성모동굴’에서 교구 내 성직자 · 수도자들과 함께 성모님께 기도를 바치고 대화를 나누었다.
 





































'가 톨 릭 사 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10월 홍주 성지 순례  (0) 2016.10.15
대전 남부지구 관저동 성당  (0) 2016.08.04
2015년 성탄구유  (0) 2016.01.08
천호성지  (0) 2015.11.23
OFM 성거 프란치스코의 집  (0) 2015.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