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는 흔히 믿음이 강한 사람은 행동이 온유하고 사양도 잘하고
착한 사람이어야 한다는 근거 없는 편견을 가지고 삽니다
그래서 교회안에서 그런성향의 사람을 만나면 성인이 될 사람이라고 칭찬을 합니다
그러나
믿음의 조상인 아브라함이 자기 조카가 불운한 일을 당하자 보인 행동은 우리의 예측을 전혀 벗어난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착하고 선하고 수동적인 사람이 아닌 전장에 나서는 장수의 모습을 보여준것입니다
"아브라함은 자기조카가 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자기집에서 태어나서 훈련 받은 장정
삼백십팔명을 모아 단까지 쫓아갔다고 기록이 된것처럼 아브라함은 단순한 종교인이 아닌
부족을 지키는 부족장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습니다
신앙인은 손해를 보아야 하고 다른사람들에게서 피해를 입어도 화를 당해도 참아야 한다는 말이
옳지않다는 것을 온몸으로 보여준것입니다
그것은 주님께서도 마찬가지 이셨습니다
주님은 불의한 일들을 보시면 절대로 그냥 넘어가지 않으시고 당신의 말씀안에 칼을 담으시고
불의한 족속들에게 사정없이 날리신 분이십니다
당신백성을 지키시기 위해서..
신자들은 손해를 보고 살아야 한다는등 하면서 스스로 무능한 자리로 가려는 사람들은
그것이 신앙이 아니라 병적인 컴플렉스임을 인식하고 깨뜨리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마치 아브라함이 훈련시킨 장정 삼백십팔명처럼 말입니다
2. 롯의 뒷심
우리는 가끔 롯에 대하여 편견을 가질 때가 있습니다
소금기둥이 되어버린 롯의 아내
아브라함처럼 강인하지못하고 소돔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롯의 이미지를 생각하면서
롯이 유약하고 결단력이 약한사람처럼 생각합니다
그러나 롯은 아주 강인한 사람이었습니다
우선 아브라함과 분리를 할 정도로 힘이 있었고
아브라함이 롯에게 원하는 것을 주겠다고 하자 사양하지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포로로 잡혀가서도 아브라함이 구해주러 올 때까지 잘 버티는 강한 모습을 보입니다
롯이 이런 면모를 보인 것은 뒷심이 있어서입니다
뒷심이란 무엇인가?
어려운 상황에서 무너지지않고 버티는 것을 뒷심이라고 합니다
뒷심이 약하면 무너지고 강하면 잘 견뎌내는 것입니다
뒷심은 어떻게 키우는것인가?
인생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어떻게 다루는가에 의해서 생깁니다
보통사람들은 문제가 생기면 싸워서 이기려고 합니다
이것을 대결형이라고 합니다
대결형의 문제점은 문제이외의 다른 것을 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시야가 좁아지는 것입니다
또 문제를 자기를 괴롭히는 적이나 방해자로만 생각합니다
그래서 늘 심하게 스트레스를 받고 불안과 긴장이 감소되지 않아서 점점 지쳐갑니다
두번째 유형은 도피형입니다
도피형은 그냥 아무런 조치없이 내버려 두는 방임형
불평만 하는 불평형
문제와 상관없는 것에 매달리는 대치형
아예 피해버리는 은둔형이 있습니다
이런 유형들은 스트레스는 덜받을지 몰라도 뒷심이 생기지는 않고 심리적으로 퇴행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럼 뒷심이 생기는 유형은 무엇인가?
의미형입니다
문제가 나에게 어떤의미를 주는가에 대하여 생각하는 유형인데
이렇게 어떤상황에서도 주님께서 그런 상황을 자기에게 주신 의미를 되새기는 사람들은
뒷심이 강해져서 어떤 역경도 잘 이겨내는 강인한 사람이 된다는 것입니다
홍성남 마태오 신부(가톨릭영성심리상담소장)
'영성심리학적 성경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15장 1절 ~6절 성장공식 (내적성장 , 성장공식, 직면) (0) | 2016.07.26 |
---|---|
창세 14장 17절-24절 사제 멜키세덱 (0) | 2016.07.23 |
창세기 13장 1절 - 18절 롯의 분가 (과보호, 밀착, 병적인 친밀감 - 독립) (0) | 2016.07.18 |
창세기 12장 10절 ~ 20절 아브라함의 잔머리| (0) | 2016.07.14 |
창세기 12장 1절 ~9절 약한 사람을 부르시는 하느님의 방법 (나와 자녀의 성장) (0) | 2016.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