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전례주년의 의미
교회는 1년을 주기로 하여 구세사를 새롭게 기념하며 하느님께 영광과 감사를 드리고 교회 구성원 각자가 구원의 은총을 입어 성화(聖化)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즉 구세사의 순서에 따라 약속된 구세주의 오심을 기다리는 시기부터 시작하여 그리스도의 탄생에서 부활까지의 역사적인 일생을 거쳐, 그리스도께서 성령을 통하여 우리를 한 몸으로 만드시고 교회 안에 친히 살아계시면서 활동하심을 드러낸다.
2)전례주년의 형성과정
오늘날 교회의 연중 전례주기는 교회의 초창기부터 특정한 의도에서 창안되거나 조직된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생겨나고 발전되어 온 것이다.
교회가 인류를 구원하시는 주님의 신비로운 업적을 기념하는 데에 있어서 그 신비로운 업적에 함축된 풍부한 내용을 여러 항목으로 나누고, 그 나누어진 내용을 일정한 기간에 규칙적으로 기념하게 하는 전례력 혹은 전례주기가 생기게 되었다.
사도시대의 초창기 교회는 주님의 재림을 기다리며 주님의 날을 지키고, 매년 부활을 기념하는 축제를 중심으로 부활시기를 형성하였다. 4세기 중엽부터는 성탄축제를 거행하게 되었는데 이 축제를 중심으로 성탄시기가 형성되고, 부활과 성탄에 속하지 않은 연중시기와 기타의 축일 그리고 많은 성인들의 축일이 자리잡게 되었다. 12세기에 이르러서야 1년을 하나의 단일한 단위로 삼아 교회의 전례주기를 정하게 되었다.
3)전례주년의 구성
전례주년은 구세사의 순서에 따라 약속된 구세주 오심을 기다리는 시기부터 시작하여, 그리스도의 탄생에서 부활까지의 역사적인 일생을 거쳐, 그리스도께서 성령을 통하여 우리를 한몸으로 만드시고 교회 안에 친히 살아계시면서 활동하심을 드러낸다.
그리스도의 신비는 그리스도의 탄생에서 시작되고 그의 부활로써 완성되기 때문에 전례주년은 성탄과 부활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성탄은 부활을 향해가고 있기 때문에 교회 전례의 중심이요 정점임을 알 수 있다. 그러기에 성탄과 부활은 축제시기 전에 각각 준비기간으로 4주간의 대림시기와 40일간의 사순시기를 지내게 된다. 또 매주일은 주님의 날'로 지내며 그리스도의 부활을 경축하는 연중시기가 있다.
이외에도 성인·성녀들의 축일도 그리스도의 부활의 신비를 드러내며, 그리스도의 신비와 연관되어 성모 마리아의 축일들이 전례주년 안에 큰 비중을 갖는다. 성탄을 경축하면서 예수님을 낳아주신 하느님의 어머니를 기념하고 있다. 성탄8부, 즉 1월1일에 천주의 모친 성마리아 대축일을 지낸다. 8월15일은 성모 마리아의 영원한 탄일인 성모승천 대축일을 경축하면서 우리도 하늘에 불림을 받으리라는 보증된 희망을 갖고 기뻐한다.
※교회력
교회력은 흔히 전례력(典禮曆) 혹은 성력(聖曆)이라고도 하며 성주간과 성인들의 축일을 날짜 순으로 배열하여 작성한 교회의 달력이다.
교회력의 구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일생과 깊은 관련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매년 1월 1일에 시작되어 12월 31일에 끝이 나는 일반 달력과는 달리 교회력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다리는 대림 첫 주의 주일에 시작되고 성탄절, 부활절을 거쳐 연중시기로 끝이난다. 즉 교회력은 1년을 주기로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 부활, 교회의 모습처럼 구성된 것이다.
교회력의 기준은 교회력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부활절이며, 대림 첫 주의 주일은 성탄 대축일을 기점으로 4주간을 거슬러 올라가 대개 사도 성 안드레아의 축일인 11월 30일 경이 된다. 또한 미사중에 거행되는 말씀 전례 역시 교회력에 따라 3년을 주기로 편찬 되어있다.
초대 교회에서는 지방적인 특색이 강하여 교구마다 고유한 교회력에 따라 전례를 행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1568년 교황 비오 5세가 교회력을 정비할 때까지 계속 되었다. 비오 5세는 여러 지역마다 서로 다른 성인의 축일을 정비하고 그 가운데 87명의 성인만을 교회가 기념해야 할 성인으로 지정하였다.
그후 새로운 성인이 탄생되면서 교회력은 다시 복잡해졌고 최종적으로 정비된 것은 1969년 교황 바오로 6세 때의 일이다. 교황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을 통해 확인한 바에 따라 교회력을 재편하였다.
※전례시기 구분 참고
·대림4주간 : 예수성탄 대축일에서 역으로 계산하여 4주간을 일컬음.
·주님공현 대축일 : 1월 2일 ∼ 8일 사이의 축일
·재의 수요일 : 예수 부활 대축일에서 역으로 계산(단, 그 사이에 오는 주일을 제외하여 역으로 계산한 날로써의 40일 전), 평일로 40일 전.
·사순시기 : 6주간 42일∼6일(주일이 6번) + 4일(재의 수요일에서 토요일) =40일
·예수부활 대축일 : 양력 3월21일(춘분)이 지난 후 만월(보름)후의 주일.
·성령강림 대축일 : 부활 후 50일째. 한국은 그 다음 주일
·연중시기 : 34주를 마지막으로 역으로 계산해서 성령강림 다음 주일이 연중(1)주가 됨
·그리스도왕 대축일 : 연중시기의 가장 마지막주일(연중34주일이 됨).
'전 례 상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전례시기 (0) | 2013.03.22 |
---|---|
대재(大齋·jejunium·단식재)와 소재(小齋·abstinentia·금육재) (0) | 2013.03.22 |
전례의 역사적 변천 (0) | 2013.03.22 |
대천사들은 실존 인물이 아닌데, 어떻게 축일이 있습니까? (0) | 2013.03.21 |
전례에 대한 상식 (0) | 201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