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형자 심리치료하며 겪는 어려움, 기도와 감사일기로 다독여요
![]() |
▲ 정여경씨는 수형자가 올바른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관리 감독과 교화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업무 특성상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하느님께 의지하며 난관을 극복하고 있다. 그는 좋은 치료자가 되는게 꿈이라고 밝혔다. 정씨가 오르간을 치고 있다. 서울대교구 홍보위원회 제공 |
교도관(矯導官)은 한자 뜻대로 범죄자들을 바로잡아 바른길로 인도하는 공직자이다. 요즘 드라마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교도관은 교도소 같은 교정시설에서 수형자를 관리, 감독할뿐 아니라 교화 교육도 담당한다.
정여경(헬레나)씨는 수형자가 올바른 마음과 생활 자세를 갖는 것을 돕기 위해 상담과 정서 순화 교육을 14년째 담당하고 있다. 그녀가 인터뷰 때 지도교수님을 교수나 선생님이라 하지 않고 스승님이라 호칭하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지금 하시는 일을 설명해 주세요.
저는 교정직 공무원으로 교정시설 내 심리치료센터에서 치료자로서 일하고 있어요.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처음에는 멋진 커리어우먼이 되고자 대기업 취업 준비를 했어요.
그러다 문득 내 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전공도 살리고 나와 타인에게도 도움이 되는 직업을 찾다 보니 공직 중에서 교정직을 택했던 것 같아요.
▶교정직으로 일하면서 가장 보람 있었던 일을 한 가지만 소개해주세요.
한국 아이돌이 좋아서 무작정 국내에 들어온 예쁜 동유럽 아가씨가 범죄 사건에 연루되어서 교도소에 수감된 적이 있었어요.
말도 안 통하고 통통 튀는 젊은 소녀라 소란도 많이 피우고 직원들이나 다른 수형자들과 싸움도 많이 해서 직원들이 무척 골치 아파했어요.
제가 어느 날 용기를 내서 그녀에게 영어로 말을 건넸어요. 좋아하는 아이돌 가수와 한국에서 겪은 불행한 일들, 특히 교도소 안에서 힘든 마음을 나누며 차츰 친해졌어요.
세상을 떠난 어머니에 관한 이야기를 하며 자신의 나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했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그녀는 행동도 잠잠해지고 잘 지내다가 얼마 후 자기 나라로 돌아가서 편지를 보냈어요.
편지는 저희 어머니께 전하는 말도 있었어요. “저를 낳아줘서 고맙다. 제가 태어난 덕분에 자기가 너무 행복하다”(웃음)라는 내용이었죠. 어머니가 그 편지를 보고 무척 기뻐하셨어요.
▶일하면서 스트레스도 많을 텐데요.
솔직히 많이 받아요. 고충과 억울함도 많고 실제로 신변의 위협을 받을 때도 있어요. 상담이나 심리치료는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일이잖아요. 그래서 매일 아침 감사한 마음을 쓰고 성경 읽기를 하는데 스트레스를 많이 해소해줘요.
![]() |
▲ 정여경씨가 수형자를 대상으로 교화 교육을 하고 있다. |
▶진로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인생 선배로서 해 주고 싶은 조언이 있나요?
전 워낙 욕심이 많고 성취 지향적인 사람이라서 늘 앞만 보고 전력으로 질주했어요. 그만큼 이룬 것도 많았지만 제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주변의 좋은 사람들 덕분이었던 것 같아요.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을 늘 기억하며 살면 좋겠어요. 어려움이 닥치면 저 혼자만의 힘이 아니라 좋은 사람들, 특히 하느님과 연결된 느낌을 받았고 저와 함께 버티어주신단 생각에 극복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가장 즐겨 하는 기도는 무엇인가요?
버릇처럼 나오는 기도가 성모송이에요. 성모송을 기도할 때 성모님이 저를 안아주신다는 기분이 들기 때문인 것 같아요.
업무상 스트레스로 너무 힘들어서 정신과 치료까지 받아야 할 때도 있었는데, 매일 묵주를 꼭 쥐고 잠들었는데, 성모님이 저를 안아주신다고 생각하며 마음이 많이 편안해졌어요.
▶청년성서모임에도 열심히 참여했다고 들었어요
제가 대학생 때 ‘왜 사는지’에 대한 질문이 풀리지 않아 늘 우울하고 공허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성서모임을 시작하게 되었어요. 성서연수가 예수님을 직접 느낄 수 있었던 기회가 됐던 것 같아요.
그때 신부님을 처음 뵈었는데, 다정하고 소소한 삶의 이야기들이 너무 따뜻했어요. 많은 연수생을 기억해주신 것도 너무 인상적이었어요. 이렇게 인터뷰도 할 수 있게 되었네요.(웃음)
▶재소자들은 정말 새롭게 바뀔 수 있나요?
저는 상담 치료 때 인지행동치료기법을 사용하는데 비합리적인 생각들, 불쾌한 감정들, 부적절한 행동들을 수정하는 데 좋은 결과가 있을 때도 많아요. 제 스승님이 좋은 나무가 좋은 열매를 맺는다는 말씀을 자주 하셨어요.
좋은 열매를 맺으려면 좋은 치료기법뿐 아니라 내면이 먼저 건강해져야 하는 것 같아요. 내면이 건강해지려면 무엇보다 잘못하고 실수를 하면서 넘어지고 쓰러져도, 내가 얼마나 사랑스럽고 귀한 존재인지를 알게 되면 일어나고 버틸 수 있는 것 같아요.
수형자 중에는 쓰러지면 일어날 줄 모르는 사람이 많아요. 그들도 일어나는 법을 배우고 자신을 정말 사랑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건강한 생각을 하게 되고 또 쓰러져도 또 일어날 줄 알게 된다고 믿어요.
▶어릴 적 꿈은? 미래에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요?
어릴 적 꿈은 많았어요. 처음에는 의사였고, 그다음엔 만화가였고, 나중에는 동화작가로 바뀌었어요.(웃음)
제가 무척 좋아하는 동화작가 중에 ‘타샤 튜더’라는 할머니가 있는데, 그분처럼 예쁜 삽화에 다정한 이야기를 쓰는 동화작가가 되고 싶었어요.
지금은 좋은 치료자가 되는 것이 꿈이기도 하고, 가능하다면 저희 스승님처럼 치료자를 꿈꾸는 후학들에게 가르침을 주고 치료자로서 겪는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버텨주는 그런 일을 하고 싶어요.
그리고 저도 언젠가는 타샤 튜더처럼 작가가 되어 제가 살면서 잘 버텨낼 수 있었던 팁들을 아기자기한 글들로 전달하고 싶어요.
그녀는 오랫동안 험한(?) 교도소에서 일했다고 믿지 못할 정도로 순수하고 맑은 모습이었다. 많은 사람이 포기했지만 여전히 그녀는 지금도 한 사람의 영혼에라도 도움을 주고자 고군분투하고 있다.
젊은 나이에 뇌출혈을 앓을 정도도 그녀가 받는 스트레스는 사실 짐작조차 안 되지만, 이야기 중에서 유난히 많이 사용한 “버텨낸다”라는 말에 마음이 울컥해졌다.
하느님께서 그녀와 함께 버티어주시라고 기도한다. 헬레나와 같이 착한 마음을 지닌 가톨릭 청년들이 많아지면 사회도 그만큼 밝아지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허영엽 신부(서울대교구 홍보위원회 부위원장)
'기 획 특 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의 날에 알아보는 ‘교회법과 신앙생활’ (0) | 2022.04.24 |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 - 원로 주교의 삶과 신앙] 1. 윤공희 대주교(4) (0) | 2022.04.23 |
[조경자 수녀의 하느님 자취 안에서] 37. 부활의 희망으로 십자가를 지며 (0) | 2022.04.19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 - 원로 주교의 삶과 신앙] 1. 윤공희 대주교(3) (0) | 2022.04.17 |
[특별기고] 예수님 부활로 살맛나는 신앙생활 (0) | 2022.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