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야고바회(작은형제회 성소후원회)는 2015년 6월 2일 화요일 오전 8시에 회원들 74명 수사님 2명 김상욱 요셉 신부님과 남양 성모 성지 순례를 갔다.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는 박해의 역사라고 해도 될 만큼, 교회가 창설된 이래로 100여 년 동안 신유박해(1801), 기해박해(1839년), 병오박해(1846년), 병인박해(1866년)를 비롯한 많은 박해가 있었다. 특히, 병인년 대박해 때에는 1만 명을 헤아리는 순교자가 났는데, 당시 교우의 총 수가 2만 3천 여명이었음을 감안해 볼 때 얼마나 잔학한 박해였는지를 알 수 있다. 바로 이 병인년 대박해 때 남양 도호부에도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끌려와 순교하였다.
- 조선조 당시 남양은 도호부가 있던 곳으로 행정과 사법권을 부여받은 종삼품의 도호부사가 다스렸다. 박해 당시, 남양 포교들이 잡아들인 천주교인들 중, 양반 신분인 분들은 한양이나 공주로 이첩이 되어 그곳에서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지만, 신분이 낮은 분들은 남양부사의 재량에 맡겨졌다.
- 남양 부사는 모진 매질로 배교를 강요하다가 이에 응하지 않는 신자들을 바로 지금의 남양성모성지 자리에서 목매달아 죽였다. 치명일기와 증언록에는 남양의 순교자들로 김 필립보와 박 마리아 부부, 정 필립보, 김홍서 토마 네 분의 이름만이 기록되어 전하고 있지만, 다음의 몇 가지 사실들로 미루어 더 많은 신자들이 남양에서 순교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 한국 최초의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중국 마카오에서 공부하다가 열병으로 숨진 최방제 프란치스코 신학생이 남양 사람이었다.
- 한국 최초의 영세자 이승훈 베드로의 손자로 1868년, 외국인 주교와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국내 인도를 도왔다는 죄로 체포되어 서소문 밖에서 참수 당한 이재의 토마 순교자가 성장한 곳이 남양부의 백학 교우촌이었다.
- 황사영 알렉산델의 전교로 입교하여 주문모 야고보 신부에게 세례를 받은 제관득도 남양 구포의 조카 집에서 숨어 지내다가 1801년 5월에 체포되어 1803년에 순교했다.
- 백학과 활초리 등 주변에 교우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남양 지역내에 있는 백학 교우촌은 앵베르 주교의 의견으로 성당을 짓기 위해 닦았다는 성당터가 오늘까지 보존되어 있으며, 여러 곳에 교우들이 살았던 흔적들이 발견되고 있어 1839년 이전 갓등이와 동시대에 교우촌이 형성되었으며, 남양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천주교 전래지역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상의 사실들로 남양에는 일찍부터 신앙이 전파되었다는 것과, 조선조 당시 이곳에 많은 천주교인들이 살거나 왕래했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남양 포졸들이 멀리 충청도에까지 가서 신자들을 붙잡아다 처형했던 것으로 보아 기록에 남아있지는 않지만, 분명 더 많은 순교자들이 남양에서 처형되었을 것이다.
'가 톨 릭 사 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OFM 성거 프란치스코의 집 (0) | 2015.10.19 |
---|---|
청양 다락골 성지 (0) | 2015.10.10 |
황새바위 (0) | 2015.01.19 |
2014 성탄구유 (0) | 2015.01.11 |
2009-2013 성탄구유와 성상 (0) | 201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