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이씨 자료

촌수 따지는 법, 호칭

dariaofs 2017. 5. 4. 01:00

 


| 남자 | 여자(고모계) | 외가 |


 

남자(直系)

5

현조부
(玄祖父)

|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

3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

|

2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

 

|

|

1


3촌

 

5촌

 

7촌

9촌


(父)

 

백숙부
(伯叔父)

 

종백숙부
(從伯叔父)

 

재종백숙부
(再從伯叔父)

3종백숙부
(三從伯叔父)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己)

 

형,제
(兄,弟)

 

종형제
(從兄弟)

 

재종형제
(再從兄弟)

 

3종형제
(三從兄弟)

4종형제
(四從兄弟)

|

 

|

 

|

 

|

 

|

|

1

 

3촌

 

5촌

 

7촌

 

9촌

11촌

아들
(子)

 


(姪)

 

종질
(從姪)

 

재종질
(再從姪)

 

3종질
(三從姪)

4종질
(四從姪)

|

 

|

 

|

 

|

 

|

2

 

4촌

 

6촌

 

8촌

 

10촌

손자
(孫)

 

종손
(從孫)

 

재종손
(從孫)

 

3종손
(三從孫)

 

4종손
(四從孫)

 

 

 

 

여자(內從間, 고모계)

4

고조
(高祖)

|

3


5촌

증조
(曾祖)

 

증대고모
(曾大姑母)

|

 

|

2


4촌

 

6촌


(祖)

 

대고모
(大姑母)

 

내재종조
(內再從祖)

|

 

|

 

|

1


3촌

 

5촌

 

7촌


(父)

 

고모
(姑母)

 

내종숙
(內從叔)

 

내재종숙
(內再從叔)

|

 

|

 

|

 

|

 


2촌

 

4촌

 

6촌

 

8촌


(己)

 

자매
(姉妹)

 

내종형제
(內從兄弟)

 

내재종형제
(內再從兄弟)

 

내3종형제
(內三從兄弟)

|

 

|

 

|

 

|

 

|

 1

 

3촌

 

5촌

 

7촌

 

9촌


(女)

 

생질
(甥姪)

 

내종질
(內從姪)

 

내재종질
(內再從姪)

 

내3종질
(內三從姪)

|

 

|

 

|

 

|

 

|

 2

 

4촌

 

6촌

 

8촌

 

10촌

손녀
(孫女)

 

이손
(離孫)

 

내재종손
(內再從孫)

 

내3종손
(內三從孫)

 

내4종손
(內四從孫)

 

 

 

 

외가(外從間)

 

4

 

외고조
(外高祖)

 

|

 

3


5촌

 

외증조
(外曾祖)

 

외종증조
(外從曾祖)

 

|

 

|

 

2


4촌

 

6촌

 

외조
(外祖)

 

외종조

(外從祖)

 

외재종조
(外再從祖)

 

|

 

|

 

|

3촌


1


3촌

 

5촌

 

7촌

이모
(姨母)

 


(母)

 

외숙
(外叔)

 

외종숙
(外從叔)

 

외재종숙
(外再從叔)

|

 

|

 

|

 

|

 

|

4촌

 

 

 

4촌

 

6촌

 

8촌

이종형제

(姨從兄弟

 


(己)

 

외종형제
(外從兄弟)

 

외재종형제
(外再從兄弟)

 

외3종형제
(外三從兄弟)

|

 

|

 

|

 

|

5촌

 

5촌

 

7촌

 

9촌

이종질
(姨從姪)

 

외종질
(外從姪)

 

외재종질
(外再從姪)

 

외3종질
(外三從姪)

 

 

 

| 남자 | 여자(고모계) | 외가 |

 

 

 **************

 

 

부계혈족(兄弟) 계촌도(系寸圖) 

 

 

 

 

 

 

 

 

 

 

 

 

5대(5촌)

 

 

 

 

 

 

 

 

 

 

현조부
(玄祖父)

 

 

 

 

 

 

 

 

 

 

|

 

 

 

兄, 弟

 

 

 

 

 

 

4대(4촌)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부
(高祖父)

|

 

 

 

兄, 弟

 

 

 

 

 

|

3대(3촌)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부
(曾祖父)

 

재종증조부
(再從曾祖父)

|

 

兄, 弟

 

 

 

 

 

|

 

|

2대(2촌)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부
(祖父)

 

재종조부
(再從祖父)

 

3종조부
(三從祖父)

|

 

兄, 弟

 

 

 

|

 

|

 

|

1대(1촌)


3촌

 

5촌

 

7촌

 

9촌


(父)

 

백숙부
(伯叔父)

 

종백숙부
(伯叔父)

 

재종백숙부(再從伯叔父)

 

3종백숙부
(三從伯叔父)

|

兄, 弟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己)

 

,제
(兄,弟)

 

종형제
(兄弟)

 

재종형제
(再從兄弟)

 

3종형제
(三從兄弟)

 

4종형제
(四從兄弟)

|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11촌

아들
(子)

 


(姪)

 

종질
(姪)

 

재종질
(再從姪)

 

3종질
(三從姪)

 

4종질
(四從姪)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손자
(孫)

 

종손
(孫)

 

재종손
(再從孫)

 

3종손
(三從孫)

 

4종손
(四從孫)

 

 

 
 

족당관계(族黨關係)와 계촌(系寸)

나를 중심으로 하여, 아버지의 형(兄)은 백부(伯父)요, 아버지의 동생(弟)은 숙부(叔父)이며,
촌수로는 백부, 숙부 모두 3촌간이 된다.
백부와 숙부의 자녀는 나와는 종형제자매(從兄弟姉妹)간 된다. 보통 4촌형제간라고 한다.

종숙(從叔 = 아버지의 종형제 = 아버지의 4촌형제)은  촌수로는 5촌간이고,

당숙(堂叔)이라고도 하며,
재종숙(再從叔 = 아버지의 재종형제 = 아버지의 6촌형제)은 촌수로는 7촌간이고,
재당숙(再堂叔)
이라고도 한다.

원래 촌수는  부자(父子)간을  1촌으로 보고,  조부(祖父)ㆍ손자(孫子)간은 2촌간이 되며,
형제(兄弟)간도 2촌간이며, 증조(曾祖)ㆍ증손(曾孫)간을 3촌간으로 본다.

부자(父子)와 조손(祖孫), 증조손(曾祖孫)간은  직계(直系)이므로, 계촌(系寸)을 중시하지 않고,
형제항렬(兄弟行列)과  숙질항렬(叔姪行列) 만을 촌수(寸數)로 따진다.

아내(妻)는 남편의 친족과의 항렬 및 촌수관계에 있어서는 남편과 같으나,  
아내가  남에게 시가(媤家)의 항렬과 촌수를 말할 때에는  "시(媤)"자를 붙여서 부른다.
즉, 시부(媤父), 시모(媤母), 시숙(媤叔) 또는 시삼촌(媤三寸),

시종형제(媤從兄弟 = 시사촌 媤四寸)라 하여 친정(親庭) 쪽과 구분하고 있다.

 

 

 

 

부계혈족(男妹-內從) 계촌도(系寸圖)

 

 

4대(4촌)

 

 

 

 

 

 

 

 

고조부
(高祖父)

 

|

 

 

 

男, 妹

 

 

 

 

3대(3촌)


5촌

증조부
(曾祖父)

 

증대고모
(曾大姑母)

|

 

男, 妹

 

 

 

 

|

2대(2촌)


4촌

 

6촌

조부
(祖父)

 

대고모
(大姑母)

 

내재종조
(內再從祖)

|

 

男, 妹

 

 

 

|

 

|

1대(1촌)


3촌

 

5촌

 

7촌


(父)

 

고모
(姑母)

 

내종숙
(內叔)

 

내재종숙
(內再從叔)

|

男, 妹

 

|

 

|

 

|

 


2촌

 

4촌

 

6촌

 

8촌


(己)

 

,매
(姉,妹)

 

내종형제
(內兄弟)

 

내재종형제
(內再從兄弟)

 

내3종형제
(內三從兄弟)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女)

 

생질
(甥姪)

 

내종질
(內姪)

 

내재종질
(內再從姪)

 

내3종질
(內三從姪)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손녀
(孫女)

 

이손
(離孫)

 

내재종손
(內再從孫)

 

내3종손
(內三從孫)

 

내4종손
(內四從孫)

 
 

아버지의 자매(姉妹 = 누님, 여동생)는 나에게는 고모(姑母)이며,
고모의 남편은 고모부(姑母夫) 또는 고모주(姑母主)라고 한다.

고모의 자녀는 고종(姑從) 또는 내종형제자매(內從兄弟姉妹)인데,
고모의 자녀는 나를 외종(外從)이라 부른다.

 

 

 

 

모계혈족(外從,姨從) 계촌도(系寸圖)

 

 

 

 

4대(4촌)

 

 

 

 

 

 

 

 

외고조부
(外高祖父)

 

 

 

 

 

 

 

 

|

 

 

 

 

 

 

 

 

3대(3촌)


5촌

 

 

외증조부
(外曾祖父)

 

 

 

 

 

외종증조부
(外曾祖父)

 

 

|

 

 

 

 

 

|

 

 

2대(2촌)


4촌

 

6촌

 

 

외조부
(外祖父)

 

 

 

외종조부
(外祖父)

 

외재종조부
(外再從祖父)

姉, 妹

|

男, 妹

 

|

 

|

3촌


1대(1촌)


3촌

 

5촌

 

7촌

이모
(姨母)

 


(母)

 

외숙
(外叔)

 

외종숙
(外叔)

 

외재종숙
(外再從叔)

|

 

|

 

|

 

|

 

|

4촌

 

 

4촌

 

6촌

 

8촌

이종형제
(姨兄弟)

 


(己)

 

외종형제
(外兄弟)

 

외재종형제
(外再從兄弟)

 

외3종형제
(外三從兄弟)

|

 

 

 

|

 

|

 

|

5촌

 

 

 

5촌

 

7촌

 

9촌

이종질
(姨姪)

 

 

 

외종질
(外姪)

 

외재종질
(外再從姪)

 

외3종질
(外三從姪)

 
 

어머니의 남자 형제는 나의 외삼촌(外三寸)  즉, 외숙(外叔)이며,
외숙의 자녀는 외종형제자매(外從兄弟姉妹)  즉, 외사촌(外四寸)이 된다.
외숙이 나를 볼 때에는 생질(甥姪)이고,
외종이 나를 볼 때에는 내종(內從) 또는 고종(姑從)이 된다.

어머니의 자매(姉妹)는 이모(姨母)가 되고,
이모의 자녀는  이종형제자매(姨從兄弟姉妹)  즉, 이종사촌(姨從四寸)이 된다.
이모가 나를 볼 때에는 이질(姨姪)이다.

 

 

 

함평이씨 종친회 대표카페(hammlee family representative cafe)

   cafe.daum.net/hammlee 

 

 

 

'함평이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보의 기원  (0) 2017.05.05
호(號)와 자(字)  (0) 2017.05.05
함평이씨 관련 문화재  (0) 2017.05.04
절충장군 이덕일  (0) 2017.05.03
함평이씨 일가님 사업체  (0) 2017.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