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경 속 인 물

194. 예후왕조 1 - 신은근 신부

dariaofs 2018. 5. 8. 03:00



예후는 쿠데타로 북이스라엘 왕이 되었다. 남북이 갈라지고 110년 지났을 때다. 그새 4번의 쿠데타가 있었다. 그때마다 왕조가 바뀌고 피의 숙청이 있었다. 10지파 연합체였기 때문이다. 첫 쿠데타는 이사카르 지파 바아사가 일으켰다.


둘째 임금 나답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사건이다. 나답은 에프라임 지파였다. 하지만 왕조는 아들 대서 끝난다. 지므리의 2번 쿠데타에 살해된 것. 지므리 역시 3번 쿠데타로 죽는다. 아합의 부친 오므리가 일으킨 쿠데타였다.


4번은 예후 쿠데타. 예후 왕조 역시 5번 쿠데타로 끝난다. 15대 임금 살룸이 일으켰다(2열왕 15,10). 남쪽도 쿠데타가 있었지만 왕조가 바뀌진 않았다. 꼭두각시 왕이라도 다윗의 직계를 앉혔던 것이다. 

 

정권을 쥔 예후는 숙청과 개혁을 단행한다. 과정은 잔혹했다. 아합의 아들 70명을 죽이고 머리를 성문 어귀에 쌓아뒀다(2열왕 10,8). 아합과 연관된 자는 모두 살해했다. 공포 분위기였다. 하지만 국내 사정보다 나라밖 상황이 더 흉흉했다.


동쪽 아시리아가 세력을 떨치며 등장했기 때문이다. 남북 공조는 깨졌고 페니키아 동맹은 끊겼다. 아람과의 연대도 무너진 뒤였다. 예후는 어쩔 수 없이 아시리아에 굴복한다. 속국이 된 것이다.


성경에는 기록이 없지만 이스라엘은 조공을 바쳤다. 대영박물관에 보관된 검은 오벨리스크엔 복종을 맹세하며 엎드린 예후의 그림이 있다. 뒤에는 이스라엘 시종들이 예물을 들고 서있다. 아시리아 왕은 살만에세르 3세였다. 

 

군인이었던 예후는 국경에서 전차부대를 지휘했다. 당시 전차는 바퀴가 둘 달린 수레로 전투의 핵심장비였다. 전차가 많을수록 강한 군대로 평가받던 시대였다. 이런 부대의 책임자였기에 군을 장악하고 있었다.


어느 날 예언자 엘리사는 그를 새 임금으로 찍는다(2열왕 9,3). 모반이었다. 그리곤 젊은 예언자를 보내 예후를 만나게 했다. 젊은이는 홀로 기름 부으며 예후를 왕으로 선언했다. 주위엔 아무도 없었다. 승자의 기록이었기에 전승되어 왔을 것이다. 

 

반란은 아람족과 전쟁 중에 일어났다(2열왕 9,14). 임금은 부상당해 치료받던 중이었다. 틈새를 이용해 사령관이 쿠데타를 일으킨 것이다. 아합 왕조는 이방인과 동맹을 맺고 문화와 자본을 받아들였다.


경제적 득은 있었지만 범람하는 우상숭배를 묵인할 수밖에 없었다. 서서히 바알 신앙이 치고 들어왔다. 전통신앙 수호자들은 전전긍긍했다. 주님의 진노를 두려워했던 것이다.


이런 배경이 있었기에 예언자 그룹은 반란을 기획했고 군부를 움직였다.


신은근 바오로 신부(마산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