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성서(Bible)라고 부르게 됐을까요? 하느님 말씀 담긴 "거룩한 책" * 하느님 말씀 담긴 "거룩한 책" * ▲ 한국교회는 초기부터 성경을 우리말로 옮겨 보급해왔다. 사진은 한국교회 초창기 성경들. 오늘날 세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읽는 책은 무엇일까? 기네스에 등재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책 기록을 보면 성서가 부동.. 가 톨 릭 상 식 2013.04.07
죽은 이를 위한 기도는 왜? ▲ 죽은 이를 위해 기도를 바치는 것은 죽은 이들도 하느님 안에서 영원한 생명을 누릴 것이라는 믿음과 희망의 표현이자 사랑의 행위이다 11월은 위령성월이라고 해서 연옥 영혼을 위해 기도하는 달이라고 들었습니다. 산 이들도 아닌 죽은 이를 위해 기도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 가 톨 릭 상 식 2013.04.06
계시 ▲ 하느님 계시의 두 원천인 성경과 성전을 똑같은 애정과 존경으로써 받아들여야 한다고 교회는 가르친다. 사진은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 제단 뒷쪽에 있는 베르니니(1598∼1680)의 조각작품 사도 베드로좌. 베드로좌는 교도권의 상징이다 계시(啓示)란 말을 그대로 풀이하면 '열어.. 가 톨 릭 상 식 2013.04.06
예수님의 호칭과 상징 ▲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들어 올린 것처럼 사람의 아들도 들어 올려져야 한다"(요한 3,14). 2001년 성지순례를 나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요르단 느보산 모세의 구리뱀을 형상화한 곳에서 기도를 바치고 있다. 평화신문 자료 사진 먼저 예수님 이름이 지니는 뜻부터 알아봅시다. '.. 가 톨 릭 상 식 2013.04.05
성사 ▲ 성사는 보이지 않는 하느님 은총을 전달하는 효과적 표징이다. 사진은 세례성사 모습.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성사에 대해 이렇게 가르칩니다. "성사는 그리스도께서 세우시고 교회에 맡기신 은총의 유효한 표징들로서, 이 표징들을 통하여 하느님의 생명이 우리에게 베풀.. 가 톨 릭 상 식 2013.04.05
성령강림대축일의 역사와 의미 세상을 향한 복음선포의 시작 * 세상을 향한 복음선포의 시작 * ▲ 예수가 부활한 후 50일째 되는 날 성령이 사도들에게 내려옴으로써 사도들은 세상에 복음을 선포하기 시작했다. 비로소 가톨릭교회가 시작된 것이다. 그림은 베첼리오 티치아노의 '성령강림', 1570년경, 유화, 구원의 성모.. 가 톨 릭 상 식 2013.04.04
미사와 기도 때 촛불을 켜는 것은 촛불을 밝히면 어둠이 사라지고 환해지지요. 초는 그래서 "나는 세상의 빛이다"(요한 8,12) 하신 그리스도를 상징합니다. 미사 때에 제대에 촛불을 켜는 것은 빛이신 그리스도께서 함께하심을 나타냅니다. 집에서 기도할 때 촛불을 켜는 것도 빛이신 그리스도를 우리 가운데 모신다는 의.. 가 톨 릭 상 식 2013.04.03
성수의 의미 성당에 들어서면서 성수반에서 성수를 찍는 모습. 성수(聖水)란 말 그대로 거룩한 물이란 뜻인데 거룩하다고 하는 이유는 사제의 축복 예식을 통해서 거룩하게 된 물이기 때문입니다. ▶물의 상징 우선 성경과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물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봅니다. 우선 .. 가 톨 릭 상 식 2013.04.03
십자가의 길 기도 (예루살렘에서 14처를 따라 가며 십자가의 길 기도를 바치고 있는 순례자들) 성당 안에 들어가면 보통 양쪽 벽면에 예수님이 재판을 받으시는 모습부터 십자가를 지고 가시는 모습, 십자가에 못박히는 모습, 무덤에 묻히시는 장면 등이 조각이나 그림, 또는 색유리화 등으로 묘사돼 .. 가 톨 릭 상 식 2013.04.02
삼종 기도 ▲ 삼종기도는 비교적 짧은 기도지만 강생의 신비를 묵상하면서 십자가와 부활에 이르는 파스카 신비를 살도록 이끌어주는 훌륭한 기도다. 사진은 밀레의 '만종'. 삼종기도는 하루에 세 번, 새벽 6시와 낮 12시, 저녁 6시에 하느님의 아드님이 사람이 되신 신비, 곧 강생의 신비를 .. 가 톨 릭 상 식 2013.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