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 이야기] 11. “사순절”에서 “사순시기”로의 변천 안에서의 혼란 작성자 : 조학균 신부 “사순절”에서 “사순시기”로의 변천 안에서의 혼란 ‘사순절’과 ‘사순시기’의 용어는 1937년 ‘가톨릭 조선’ 교회력의 성년(聖年)이라는 부분에서 봉제(封齊)에서 유래된다. ‘봉재’라는 표현은 1880년 한불자전에서 ‘사순절’과 ‘사순재’의 의미로 사..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29
[미사 이야기] 10. “사순시기”와 “사순절” 정의와 변천 작성자 : 조학균 신부 “사순시기”와 “사순절” 정의 교회 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가운데 정확한 구분 없이 사용되는 단어들이 존재한다. 물론 과거에 사용되었던 단어 중에는 현대 언어 용법에 맞추어 변경하기 때문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홍보가 필요를 요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성..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27
[미사 이야기] 9. 가톨릭 “미사”의 의미 가톨릭 미사와 예배와의 용어적 차이 – 가톨릭 ‘미사’의 의미 작성자 : 조학균 신부 인간은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리고 경험을 바탕으로 어떠한 형식과 규범을 만들어 내며, 그 형식과 규범을 통해 과거의 경험을 기억하고 재현하려고 한다. 종교, 특히 그리스도교에서도 마..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26
[미사 이야기] 8. 전례주년 – 연중시기에는 그리스도의 신비를 전체적으로 경축한다 작성자 : 조학균 신부 작성 조학균 신부 1987년 예수회 입회,1995년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 신학부 졸업,1996년 사제서품,1998년 로마 안셀모 대학 전례학 석사,2003년 로마 안셀모 대학 전례학 박사,현재 대전가톨릭대학 전례학교수 및 영성지도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23
[미사 이야기] 7. 공현시기 작성자 : 조학균 신부 주님 공현 대축일은 예수 성탄을 기리는 동방 교회들의 축일이었다. 공현을 가리키는 그리스어 에피파니아, 또는 테오파니아는 스스로를 드러냄 또는 유명한 존재가 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하느님의 발현이나 하느님의 개입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따라서 ..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20
[미사 이야기] 6. 전례주년 – 성탄시기 : 로마의 풍습과 충돌하지 않기 위해 3.5 성탄시기 예수 성탄 제1저녁기도부터 주님 세례 축일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성탄 시기는 주님 공현 대축일 이전까지의 성탄시기와 그 이후의 공현시기로 나눌 수 있다. 초대 교회 때는 단 하나의 축일만 있었는데, 주간 파스카(주일)와 연중 파스카(예수 부활 대축일)에 지내는 주님의 ..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19
[미사 이야기] 5. 전례주년 – 대림시기의 전례적 특징은 작성자 : 조학균 신부 대림시기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는 성탄을 준비하고, 재림할 구세주를 기다리는 시기이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성탄 대축일을 앞두고 대림 시기로 한 해의 전례 주기를 시작하는데, 그 기간은 4주이다. 대림 시기에는 제대 주위의 화려함을 피하고 대영..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17
[미사 이야기] 4. 전례주년 – 성주간과 부활 작성자 : 조학균 신부 성주간 사순 시기의 마지막 주간, 즉 주의 수난 성지 주일부터 시작하여 주의 만찬 성 목요일 미사 전까지의 사순 시기와 주의 만찬 성목요일 미사부터 성토요일까지의 파스카 삼일 중 이틀을 포함하는 기간이다. 성주간은 주의 수난 사건을 전례적으로 기념하는 것..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15
[미사 이야기] 3. 전례주년 구분 및 특징 – 사순시기란? 작성자 : 조학균 신부 사순시기 사순시기는 재의 수요일부터 성목요일 주님의 만찬 저녁 미사 전까지 예수 부활 대축일을 준비하는 회개와 기도의 시기이다. 이 기간 중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은 금식제와 금육제를 함께 지켜야 한다. (1) 기원과 발전 사순 시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13
[미사 이야기] 2. 전례주년상 한 해의 흐름 작성자 : 조학균 신부 전례주년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부활절과 성탄절을 중심으로 구성되고 이루어 졌다. 전례주년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파스카 축일]과 [성탄 축일]을 큰 축으로 생각하면 된다. 먼저 “파스카 축제”를 중심으로 하여 앞으로는 사순 기간, 뒤로는 부활 팔일 축.. 가 톨 릭 이 야 기 2013.05.10